- TI nspire
[TI-nspire] [Ti-89] 임의 상수(c1, c2, ...) arbitary constants
1. 상수(c1, c2, ...) 그리고 임의 정수 상수(n1, n2, ...)란?
TI-nspire 또는 TI-89 등의 CAS 계산기를 사용하여 계산을 하다보면 결과값에 기울어진 글꼴로 c1, c2, c3,... 또는 n1, n2, n3,... 와 같은 기호가 삽입되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이것의 TI 내부 공식 명칭은 임의 상수(arbitrary constants) 그리고 임의 정수 상수(arbitrary interger constant) 입니다. (c는 상수의 약자로, n은 정수의 약자인데, 계산기 회사마다 표시방법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c와 n 뒤에 붙는 숫자는 존재적 의미가 있을 뿐이구요, 숫자로서의 의미는 없습니다. (문서 내에서) 매 계산마다 (무조건) +1씩 카운트되어 올라갑니다.(1~255 범위 내에서 사용됨) 다른 계산에 사용된 것들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입니다.
새 문서(New Document) 또는 새 문제(New Problem)에서는 상수 번호가 새로 카운트 됩니다.
현재의 문서 & 문제 에서 번호를 리셋시킬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압니다. (제보 바람)
임의 정수 상수 관련 글 : https://allcalc.org/5077
2. TI 계산기 내에서 사용법
* 계산의 결과로서
임의 상수 c가 나오는 함수 : zeros(), czeros(), solve(), csolve(), desolve()
임의 정수 상수 n이 나오는 함수 : solve로 삼각함수를 계산할 때
* 계산에 입력하여 활용
위 링크처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는 드물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계산의 결과로 c나 n이 나왔을 경우에 그 값을 특정하여 재계산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ㄴ TI-Nspire CAS Refrence Guidebook deSolve() 함수 설명화면
3. 입력 방법
1. @c1 @n1 과 같이 입력
골뱅이(at)기호를 앞에 붙인 후 알파벳 c 와 n 을 붙여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
(골뱅이 기호는 카탈로그 4번탭 - 4번째 줄 - 6번째에 있습니다)
2. 카탈로그에서 직접 입력
카탈로그 4번탭 - 7번째 줄 - 5번째(c) 6번째(n) 으로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앞선 식에서 불러오기
enter 를 눌러서 식 전체를 불러온 후 필요없는 부분을 삭제하거나,
필요한 부분만 shift 방향키로 선택해 ctrl+c, ctrl+v 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1
-
세상의모든계산기
부정적분에서 상수의 사용
- 수학적으로는 임의 상수 c가 결과에 붙어 표시되어야만 정확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TI 계산기에서는 부정적분(interal) 계산 결과에 임의 상수 입력이 생략되는 것이 기본입니다.
- 상수를 표시하도록 따로 지정할 수는 있습니다.
- 이때는 상수기호로 문자 c를 그냥 사용할 수도 있고, 임의상수기호인 c1같은 값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 임의상수기호를 넣는다고 특별한 기능이 생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임의상수기호보다는 그냥 문자로서 c 또는 c1 같은 값을 입력하는 편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만... 마음대로 하시면 됩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4*4 행렬 계산이 가능한 fx-570EX 이후 계산기는 행렬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본문 방법이 더 편리한 것 같습니다. [fx-570 EX] 복소수 1차 연립방정식 해 구하기 (feat. MATRIX) https://allcalc.org/21582 2025 10.15 고장남 - POST 진입 실패, 모니터 안나옴 직접 사용할 일이 없어져서, 고향집에 가져다 놓고 어댑터만 꼽아 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켠 것은 25년 6월쯤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이상증상은 없었구요) 이번 추석에 가서 켜 보니까, 화면이 아예 안나오더라구요. 집에 가져와서 분해해 살펴보니까 - 어댑터 12V는 정상 - 어댑터 꼽으면 바로 POWER 는 켜집니다. ㄴ POWER ON -> Fan 돌아감 + 파워 LED 들어옴 + NVME에 LED 들어옴 ㄴ HDMI 1, 2 신호 전혀 안들어옴 (모니터 2대 확인) ㄴ 키보드에 LED 안들어옴 (USB 5V 가 안들어오는 듯 함) - 옆구리 버튼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길게 눌러도 꺼지지 않음. 하나씩 제거하면서 변수를 제거해 봤는데, 뭘 해도 상태가 똑같습니다. 보드쪽에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2025 10.14 다항식 나눗셈 (가장 정석적인 방법) (피제수, 나뉠 식) r1*r3 를 (제수, 나누는 식) r1+r3 로 직접 나누며, 여기서 r1을 변수로 취급합니다. 1. 몫 구하기: r1*r3 (나뉠 식)의 최고차항을 r1+r3 (나누는 식)의 최고차항 r1로 나눕니다. (r1*r3) / r1 = r3 <-- 이것이 몫(Quotient)이 됩니다. 2. 나머지 구하기: (원래 분자) - (몫 × 분모) 를 계산합니다. (r1*r3) - (r3 × (r1+r3)) = r1*r3 - (r1*r3 + r3^2) = -r3^2 <-- 이것이 나머지(Remainder)가 됩니다. 3. 결과 조합: 최종 결과는 `몫 + (나머지 / 나누는 식)` 형태로 씁니다. r3 + (-r3^2 / (r1+r3)) \[ \begin{array}{l} \phantom{r_1+r_3 \overline{) r_1 r_3}} r_3 \\ r_1+r_3 \overline{) \begin{array}[t]{@{}r@{}} r_1 r_3 \phantom{+r_3^2} \\ - (r_1 r_3 + r_3^2) \\ \hline -r_3^2 \\ \end{array}} \end{array} \] 2025 10.14 부분적 과정으로 분자(변수의 곱)를 다른 변수로 치환할 수 있다면 (r1*r3=a, r2*r4=b) 다항식에서도 강제 나눗셈 과정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만, 원래의 식에 적용시킬 수는 없어 의미가 없겠습니다. 2025 10.14 (r1*r3) / (r1+r3) 에서 원래라면 분자(r1*r3)에서 하나의 변수를 선택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분모를 나누고 몫과 나머지로 분리하여 표현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만, 결과가 단항인 분수식일 경우 분자가 두 변수의 곱으로 표현되더라도 그것이 더 간단한 표현인 것으로 보고 그대로 두는 듯 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예시에서 보이는 것처럼 +1만 붙는 간단한 형식일지라도 다항식이 되는 순간 원래의 기본 원칙대로 대수의 나눗셈(r1*r3를 (r1+r3)로 나눔)이 강제 진행되어버리고 이를 막을 수 없는 듯 합니다. 2025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