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일반 ()
HP Elitebook 8460p 중고구매
인터넷으로 구매한 중고 B급(판매자가 B급이라고 명시) 노트북입니다.
외국(아마도 미국?) 기업에서 사용하다가 회수된 제품으로 추정은 됩니다만, 사연은 알 수가 없습니다.
택배로 받아보니... 외관성 B급이라고 한데는 이유가 있었더라구요.
- 전반적으로 사용 흔적 있음 - 이건 예상했던 것인데...
- 상판에 검은 시트지가 붙어 있음. (떼어내면 심하게 긁힌 자국이 있을 것만 같아서 못떼겠음)
- 전면부(금속)에 (세로방향으로) 떨어뜨려서 생긴 심한 우그러짐?이 있음.
- 위의 우그러짐으로 인한 것인지 닫았을 때 LCD 고정이 안됨(래치 불량)
- 트랙 포인트 고무 실종 (이건 전화했더니 다시 보내주신다 함. 다음날 택배 수령)
- 흔들어 보면 안에서 뭔가 돌아다니는 소리가 들림. (플라스틱이면 그나마 다행인데...)
하지만 다행히도 기능상 문제는 없어보였습니다. 엄청 빠릿빠릿 하네요. 4GB 인데도 불구하고... (클린설치 상태라서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
일단 테스트를 더 해보았습니다. 잠깐의 테스트 결과...
- CPU가 다름 : 구입정보는 i5-2520m, 실제는 i5-2540m
- HDD가 다름 : 구입정보는 320GB, 실제는 500GB (Toshiba 500GB MK5059GSXP)
배드섹터는 안보이지만, HD TUNE상 그래프는 깔끔하지 않음.
100GB(시스템), 360GB(DATA) 로 파티션 되어 있음. (복구영역 6GB 정도? 별도)
DATA영역에서 배드 섹터 발견 ㅜㅜ - DVD ROM 읽기 불량? : 구워놓은 DVD 문제일 수도 있어서 판단보류.
DVD-MULTI가 아닐까 싶었는데 ROM이 맞음. (DS-8D3SH31C) - 메모리 문제 : 4GB 1333MHz 라고 적혀 있는데 2GB(10600)+2GB(8500) 혼용. 아흑...
8G 업글하려면 두개 버려야 함. - 배터리는 생각보다 많이 멀쩡
- LCD : 딱히 문제는 없지만, 그냥 보통의 TN 패널
- 키보드 : 영문 (그래서 한글 자판 찍힌 키스킨 같이 보내줌)
키스킨 장착 후 타이핑 감 매우 떨어짐. 반발력 너무 강함. 밀착 안되고 모서리 부분이 약간 뜬 느낌. - 터치패드 : 고장은 아니지만, 움직임이 약간 마음에 안듦.
- 어댑터 : 호환 어댑터 (국산 LOADUS DC19V 4.74A, 6cm*13cm*4cm, 한마디로 큼)
- OS : 윈도우 7 Pro K
- 이어폰 잭 : 문제 없음
- 마이크 잭 : 테스트 못함
- USB 2.0*2개, 3.0*2개 : 문제 없음
- eSATA : 테스트 못함
- CAM : 정상
- 키보드용 LED : 정상
고민이 이어지고는 있는데, 심각한 문제는 보이지 않고 있어서, 주말에 걸쳐 테스트 더 진행해보고 문제가 없으면 그냥 쓰려고 합니다. 성능은 마음에 드는데,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찜찜함이 더 크네요.
댓글11
-
세상의모든계산기
mini PCIe 슬롯 (WWAN)
무선랜카드 윗쪽에 보면 빈 슬롯이 하나 있는데, 원래는 3G 모듈(?) or WWAN(?)의 장착을 위해 남겨진 곳 같습니다. mini PCIe FLL Size 인데, 그런 SSD가 있나?? 싶지만, 찾아보니까... 있다?
http://www8.hp.com/us/en/mpc/oas/product-detail.html?oid=7633917
- Hardware compatibility
-
- HP ProBook 430, 640, 645,650, 655; HP ProBook 6460b, 6470b, 6560b, and 6570b Notebook PCs; HP EliteBook 2170p, 2560p, 2570p, 2760p, 8460p, 8470p, 8560p, and 8570p Notebook PCs; HP EliteBook 725, 745, 755, 820, 840, 850 Notebook PCs; HP EliteBook Revolve 810; HP EliteBook 8460w, 8470w, 8560w, 8570w, 8760w, and 8770w Mobile Workstations; HP ZBook 14, 15, 17 Mobile Workstations
M.2 2260 PCIe drive (L3M57AA) 은 호환이 된다고 나옵니다.

<사진 출처 : https://www.bhphotovideo.com/c/product/1152963-REG/hp_l3m57aa_256gb_m_2_2260_pcie.html >- 그런데, M.2 를 어디다가 꼽죠? 8460p 는 M.2 슬롯이 없고 mini-PCIe 슬롯은 사이즈가 다른데... ㅠㅠ
-
세상의모든계산기
HDD 검사
=============================================================
GMDATA HDD SCAN Ver 2.0 검사레포트
=============================================================
. 검사모델(드라이브) : TOSHIBA MK5059GSXP [D:]
. 버스타입: SATA
. 펌웨어: GT001L
. 제조사 : TOSHIBA
. 시리얼넘버 : Z1OKC0ZJT Z1OKC0ZJT
. 로컬리스트 : CD
=============================================================
. 검사시작(일자/시간): 2016-12-03 오전 1:37:15
. 검사종료(일자/시간): 2016-12-03 오전 3:20:24
. 검사진행시간:01:43:08
.
. 검사범위(시작섹터~종료섹터): 220555264 ~ 976771072
. 검사범위(시작(MB)~종료(MB)): 107693.0MB ~ 476939.0MB
. 검사범위(시작(GB)~종료(GB)): 105.2GB ~ 465.8GB
.
.
. 검사완료(검사된 전체섹터) : 756215808
. 검사완료(검사된 전체(MB)) : 369246.0MB
. 검사완료(검사된 전체(GB)) : 360.6GB
.
.
.
. 배드카운트:8
======================================
==>>>>> 검사된 배드섹터 리스트 <<<<<==
======================================
292952568섹터,143043MB
292952569섹터,143043MB
292952570섹터,143043MB
292952571섹터,143043MB
292952572섹터,143043MB
292952573섹터,143043MB
292952574섹터,143043MB
292952575섹터,143043MB
======================================
GMDATA HDD SCAN ver2.0 검사레포트 완료.
감사합니다. (지엠데이터)
[추가]

-
세상의모든계산기
LCD 액정 (TN)
현재 가장 후달리는 것은 액정
해상도(1366*768) 도 14인치에는 조금 안어울린다는 느낌인데, 게다가 TN 이라니...
검색하다 보니 1600*900 액정으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고 나오고...
부품 사서 업그레이드 했다는 분이 계심.
http://www.mattlestock.com/2012/11/upgrade-hp-elitebook-8460p-screen/
그 부품은 Display panel, 35.6 cm (14.0 in), HD+, anti-glare, LED, SVA, LVDS (HP P/N: 653040-001)
인데... 검색해 보니 8460w 에도 들어가는 부품인 듯. (상호 호환 되는건가?)* 주의 : 케이블(HP P/N: 642793-001)도 따로 주문했다는 것을 보니 원래 있는 케이블과 호환되진 않는 모양.
-
세상의모든계산기
CPU i5-2540M i7-2630QM i7-2670QM i7-2720QM i7-2760QM i7-3610QM 중고딩나라
(3개월내 평균판매)3.5 7 8.5 9.5 10.5 Socket Type BGA1023 PGA988B PGA988B BGA1224 BGA1224 PGA988B CPU Class Laptop Laptop Laptop Laptop Laptop Laptop Clockspeed 2.6 GHz 2.0 GHz 2.2 GHz 2.2 GHz 2.4 GHz 2.3 GHz Turbo Speed Up to 3.3 GHz Up to 2.9 GHz Up to 3.1 GHz Up to 3.3 GHz Up to 3.5 GHz Up to 3.3 GHz P*L cores 2*2 4*2 4*2 4*2 4*2 4*2 Max TDP 35W 45W 45W 45W 45W 45W First Seen on Chart Q4 2010 Q1 2011 Q2 2011 Q1 2011 Q2 2011 Q2 2012 # of Samples 793 3896 4403 841 777 3299 Single Thread Rating 1562 1316 1398 1455 1592 1635 CPU Mark 3744 5558 5931 6108 6642 7459 호환 불분명 2820QM, 2860QM 은 호환되는 것으로 보이고, 3세대는 불가능하다는 말은 있는데...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ChatGPT-5 기호(÷, /, :) 자체는 의미적으로 같은 “나눗셈”을 뜻하지만, 문맥(사람이 쓰는 수학 vs 컴퓨터/프로그래밍)에 따라 해석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1️⃣ 전통 수학 표기 — ÷, /, : 수학 교과서, 논문, 일반 문서 등에서는 셋 다 의미적으로 “나누기”로 간주됩니다. 즉, 48÷2(9+3), 48/2(9+3), 48:2(9+3) 은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모두 사람의 수학 관행적 해석이 적용되어 48 ÷ 2 × (9+3) = 288 로 처리되죠. 즉, 기호가 바뀌어도 결과는 바뀌지 않습니다. 🔹 2️⃣ 컴퓨터·프로그래밍 문맥에서 / 사용 시 컴퓨터는 “생략된 곱셈(implicit multiplication)”을 따로 구분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다음 두 식은 완전히 다르게 인식됩니다. 표현 파이썬 등에서 해석 결과 48 / 2*(9+3) ((48 / 2) * (9+3)) 288 48 / 2(9+3) ❌ 문법 오류 (생략된 곱셈 인식 불가) — 즉, 컴퓨터 언어에서는 생략된 곱셈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는 반드시 명시적 *와 함께 써야 합니다. 🔹 3️⃣ “:” 기호의 경우 현대 수학에서는 “비율”을 나타내는 기호로 쓰입니다. a:b = \frac{a}{b} 따라서 (27 : 3(1+2)3) 같은 표현은 모호하거나 비표준적으로 간주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계산기로는 입력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정리 기호 의미 결과 변화 주로 쓰이는 문맥 ÷ 나누기 없음 초중등 수학, 일반 표기 / 나누기 없음 (단, 프로그래밍에서는 생략 곱 불허) 수학/컴퓨터 : 비율 (또는 나누기 의미로 혼용) 보통 계산식에서는 사용 안 함 비, 비율 표기 🔹 결론 48 ÷ 2(9+3), 48/2(9+3), 48:2(9+3) 는 “수학적 의미”로는 동일하게 81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이나 수식 파서(context) 에서는 /만 유효하고, 생략된 곱은 허용되지 않으며, :는 아예 다른 의미(비율)로 인식됩니다. 2025 10.28 ChatGPT-5 💯 네, 정확히 그 지점을 짚으셨어요. 요약하면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생략된 곱하기(implicit multiplication)”는 문자에서는 강한 결합력을 인정하지만, 숫자나 괄호 사이에서는 일반 곱셈(×)과 동일한 우선순위로 취급된다. 즉, 문자에서는 더 강하게 결합, 숫자·괄호 사이에서는 그냥 ‘보통 곱셈’ 으로 본다는 것이 현대 수학 표기와 계산기의 관행적 규칙입니다. 🔹 두 경우의 구조적 차이 식 형태 실제 해석 결과 결합력 특징 ab ÷ ab 문자 붙음 ((a×b) ÷ (a×b)) 1 문자 간 결합이 강함 → 한 항으로 인식 3(1+2)3 숫자·괄호 혼합 (3 × (1+2) × 3) 27 생략된 ×는 보통 곱셈 → 좌→우 규칙 적용 🔹 왜 문자식은 결합력이 더 강한가? 기호적 표현의 안정성 (ab), (xy), (2x) 같은 표기는 수백 년 동안 “하나의 곱셈 항(term)”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수학자들은 이걸 암묵적으로 “괄호로 묶인 덩어리”로 봅니다. ab ÷ ab = (ab) ÷ (ab) 함수 표기와 구분 필요 예: (sinx ÷ x) 에서 sinx는 sin(x)로 묶여야 의미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문자 옆에 붙은 기호나 문자”는 항상 먼저 결합되도록 하는 관행이 굳어졌습니다. 🔹 반면 숫자·괄호에서는 (3(1+2)) 는 단순히 “3 × (1+2)”의 약식 표현이고, 여기서 “생략된 곱셈”은 “명시적 곱셈”과 동일한 연산자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27 ÷ 3(1+2)3 = 27 ÷ 3 × 3 × 3 = 81 처럼 좌→우 순서로 처리합니다. 🔹 결론 생략된 곱하기(implicit multiplication)의 결합력은 표기 맥락에 따라 다르다. 문자/기호와 함께 쓰일 때 → 강하게 결합 (하나의 항으로 인식) 숫자와 괄호 사이 → 일반 곱셈과 동일한 우선순위 (좌→우 계산) 이건 “규칙이 바뀐 것”이 아니라, 표기 문법(context) 이 달라서 ‘결합 단위(token)’이 달라진 결과라고 보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2025 10.28 자게로 이동조치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글의 내용을 정리하여 HP 포럼에 올려두었습니다. https://allcalc.org/55774 [HP Prime] Solve 함수 사용법 2025 10.27 수치해석 방법 method 를 강제로 선택할 수 있으면 좋을텐데... 위의 스샷을 보면 되는 듯 하면서도 아래 스샷을 보면 안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solve(Expr,[Var]) csolve(LstEq,LstVar) n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deSolve(Eq,[TimeVar],FncVar) linsolve(LstLinEq,LstVar) f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2025 10.17 종합해서 답변을 드리면 HP Prime 에 solve 에서 변수명에 구간을 입력하면 수치해석 방식으로 bisection 을 사용함. 이 bisection 방식은 해의 좌-우 부호가 서로 바뀌어야만 해를 인식하고 해의 좌-우 부호가 같으면 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본문 sin 의 예나 아래 사진의 예에서는 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5 10.17